
타인의 삶in LG아트센터 U+스테이지, 2024.12.28 7시 윤나무 게르트 비즐러, 정승길 게오르그 드라이만, 최희서 크리스타 마리아 질란트, 김정호 브루노 햄프 외, 이호철 그루비츠 외, 박성민 우도 외. 연극 관극 후 바로 영화를 봤더니 장면들이 더 인상적으로 기억에 남는다. 무대라는 한정된 공간 위에서 다양한 장소들을 표현하는 연출의 중요성도 새삼 느꼈고. 영화와 약간씩 다른 부분이 보이는 것도 재밌다. 예를 들면 드라이만이 받은 선물이 영화에서는 악보였는데 연극에서는 LP판이다. 피아노를 직접 치는 장면을 넣을 수 있는 영화와 다르게, 연극에서는 흘러나오는 음악을 듣는 것으로 바꾼 것이다. 이외에도 1인 다역을 위해 소품이나 의상뿐만 아니라, 걸음걸이와 말투, 목소리 등을 바꿔내는 방식이..

초선의원in 대학로 자유극장, 2024.05.12 2시 김준원 최수호, 윤지현 이명제, 김려은 민현수, 강신철 유격수, 정형렬 이석규, 도예준 문송면, 유일한 사장, 문수아 기자, 유태온 노동자. 초선의원 재연 총막. 초연 당시 놓쳐서 아쉬웠던 극인지라 총선 끝나고 꼭 챙겨보려고 했는데,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 유야무야 예매를 미루다가 총막 전날이 다가오고 말았다. 이대로 보내면 두고두고 찝찝할 것 같아서 총막으로 자첫자막이라는 극악무도한 선택을 감행했다. 유쾌한 톤으로 툭툭 던지는 묵직한 이야기가 벅차고 힘겨웠다. 힘겹게 국회를 통과시킨 법률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하나에 휴지조각이 되고 마는, 36년 전과 다름 없는 작금의 현실이 아찔하다. "학생도 잘 살고 노동자도 잘 살고여성도 잘 ..

비 Bea in LG아트센터 U+스테이지, 2024.02.18 3시 김주연 비, 강명주 캐서린, 김세환 레이. 보고 싶었던 극이라서 냉큼 프리뷰를 잡았다. 객석 입장이 늦어지는데 현장 공지가 얼렁뚱땅이라서 답답했다. 캐서린 배우 부상으로 다른 배우가 오고 있다, 이렇게 듣고 기다리는데 한참 있다가 캐슷 변경 없이 30분 지연 시작한다는 안내 방송이 나왔다. 공연 후반부쯤 되어서야 캐서린 배우 턱의 살색 테이핑이 눈에 밟히더라. 감정적으로 많이 힘든 작품인데, 다들 아프지 마시길. 발랄하고 경쾌하지만 안락사라는 소재가 소재인만큼 결코 가볍지 않은 극이다. 침대 위에서 방방 뛰고 장난스럽게 말을 맞받아치는 주연비의 사랑스러움에 함박웃음을 짓는다. 죽음으로써 자유롭고 싶은 비의 부탁이, 아니 그의 요구가, 극..

거미여인의 키스 in 대학로 예그린씨어터, 2024.01.27 3시 정일우 몰리나, 최석진 발렌틴. 궁금했던 극인데 이제야 봤다. 보고 싶은 캐슷이 있긴 했는데, 내 일정에 맞게 탐셀이 딱 떠서 자첫인 배우들의 페어로 관극 했다. 공연장인 예그린씨어터도 처음이었는데, 로비가 너무 협소하고 객석도 답답했다. 소극장 관극을 마음먹기가 갈수록 힘들어진다. 몰리나는 대사 톤이 잘 잡혀있는 점이, 발렌틴은 몸을 사용한 디테일이 실감 나고 생생한 점이 좋았다. 다만 서로 대사를 주고받는 장면은 자연스러웠던 반면, 각각 독백을 읊조리는 부분은 조금 아쉬웠다. 원작 소설을 읽으며 상상했던 두 인물에 비해 다소 어린 느낌이랄까. 치열하게 삶을 살아냈기에 수없이 상처 입은 두 영혼은, 낡고 빛바랜 누더기 같으리라 생각했다..

고도를 기다리며 in 국립극장, 2024.01.10 3시 신구 에스트라공(고고), 박근형 블라디미르(디디), 박정자 럭키, 김학철 포조, 김리안 소년. 원캐. 2024년 첫 관극. 평일 마티네인데도 매진 객석인 점에 한 번 놀라고, 때로는 맨발로 때로는 무겁게 이동하며 펼쳐내는 무대 위 배우들의 농도 짙고 묵직한 연기에 또 한 번 놀랐다. 무척 잔잔하게 흘러가는 전개에 나른해질 무렵, 순간적으로 관객의 몰입도가 확 높아지는 찰나가 여럿 있었다. 담백한 텍스트를 생동감 있게 풀어내는 배우들의 능숙함에 저절로 기립박수가 터져 나왔다. "나 갈래." "안돼." "왜." "고도를 기다려야지." 1막에서 조금씩 가볍게 쌓아놓은 초석들이 2막에서 망가지고 뒤엉키며 적나라하게 현실을 드러낸다. 1막과 비슷하게 반복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