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세스 다웃파이어 in 샤롯데씨어터, 2022.09.09 7시 양준모 미세스 다웃파이어&다니엘, 박혜나 미란다, 김산호 스튜어트, 김나윤 완다, 임기홍 프랭크, 영오 안드레, 설가은 리디아, 윤준상 크리스, 김가온 나탈리, 이하 원캐. 로빈 윌리엄스가 출연한 동명의 영화를 워낙 즐겁게 봤던지라, 이 극을 챙겨보지 않을 수 없었다. 꽤 오래전 영화이고 코미디 극이라서 약간의 우려가 없지 않았으나, 여러 요소들을 시대에 맞게 다듬고 수정한 창작진의 노력 덕분인지 다행히 불편한 부분은 없었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자연스럽고 마땅하다 긍정하고, 포기하는 대신 그 이후를 바라보는 변화와 성장을 포용하는 극의 따뜻한 시선이 포근했다. 눈 감고도 찾을 수 있는 객석에 앉아 익숙한 음감의 뒷모습을 보며 믿고 보는 배..
킹아더 in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2019.03.20 8시 한지상 아더, 간미연 귀네비어, 장지후 랜슬롯, 박혜나 모르간, 김찬호 멜레아강. 이하 원캐. 입덕 이후 4년 동안 꽤나 많은 공연들을 만나며 매번 후기를 남기고 있지만, 이렇게 말문이 턱턱 막히는 관극은 처음이다. 어이가 없어 헛웃음이 나오는 지경이라서, 말 그대로 언어를 잃어버린 듯한 기분마저 든다. 당황이나 난감 혹은 분노 같은 분명한 색감의 감정이 아닌, 이 극의 조명 색감처럼 형용이 불가능한 기분에 휩싸여 정신을 차리기 어려울 정도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풀어나갈지 가늠조차 할 수 없는 이 혼란스러운 생각들을 굳이 정돈하려 들자니 시작부터 막막하고 아득하다. 극을 여러 번 곱씹어봐도 더이상의 관극은 없을 듯하니, 스포 없이 간략하게 자첫자..
프랑켄슈타인in 블루스퀘어 인터파크홀, 2018.08.26 2시 공연 류정한 빅터/자크, 한지상 앙리/괴물, 박혜나 엘렌/에바, 이지혜 줄리아/까뜨린느, 이정수 룽게/이고르, 김지호 어린 빅터, 이유주 어린 줄리아. 삼연 프랑켄슈타인 총막공. 류빅터 서울 막공이자 24번째 관극. 류한페어 페어막이자 8번째 공연이자 자여덟. 공연 후기에 앞서 총막공 무대인사와 관련하여 간략하게 기록을 남긴다. 아역을 포함하여 모든 배우들이 모두 지방공연 홍보 및 고기 좋아한단 얘기만 해서 많이 웃었고, 고생한 배우들과 스탭들을 향해 열과 성을 다한 환호와 박수를 보냈다. 무엇보다 류빅터의 큰절과 류핝의 맞절과 류빅터의 무인 내용이 기억에 남는다. 이번 삼연 제의를 받고 고민을 많이 했는데, 박민성 배우 막공의 절절한 편지..
프랑켄슈타인 in 블루스퀘어 인터파크홀, 2018.08.07 8시 공연 류정한 빅터/쟈크, 한지상 앙리/괴물, 박혜나 엘렌/에바, 안시하 줄리아/까뜨린느, 이정수 룽게/이고르, 김지호 어린 빅터, 이유주 어린 줄리아. 류빅터 17차 관극. 류한페어 다섯번째 공연이자 자다섯. 배우들의 감정선과 이야기의 개연성이 몹시 훌륭하여 삼연 들어 가장 많은 눈물을 쏟은 관극이었다. ※스포주의※ 류빅터와 핝앙리는 완전히 서로에게 마음을 터놓으며 함께 꿈과 이상을 좇는 친구 사이였다. 이 관계에도 불구하고 류빅터가 선뜻 진실을 고백하지 못하는 이유는, "위대한 이상" 을 달성하지 못한 자신이 이대로 주저앉을 수 없다는 야망 때문이었다. 한 순간의 실수로 처하게 된 위기 속에서 자신을 대신해주는 사람이 있어 다행이라는 듯..
프랑켄슈타인 in 블루스퀘어 인터파크홀, 2018.07.21 7시 공연 류정한 빅터/쟈크, 카이 앙리/괴물, 박혜나 엘렌/에바, 이지혜 줄리아/까뜨린느, 이정수 룽게/이고르, 이지훈 어린 빅터, 신서린 어린 줄리아. 류카페어 자둘. 류빅터 11차 관극. 간만의 류카 관극이었는데, 볼 수 있는 이 성악페어의 회차가 거의 없어서 슬프다. ※스포주의※ 단단하고 자신감 넘치는 류빅터와 곧고 고지식한 카앙리. "그래, 이제야 자네답군!" 하면서 왼손으로 카앙의 안경다리를 살짝 들어올리고선 씩 웃고 다리 위로 올라가는 류빅. 카앙과의 회차여서 그런지 류빅은 성악발성으로 음 하나하나를 꾸욱꾹 눌러가며 넘버들을 불러줬다. 단하미 후반에 두 배우 목소리가 맞물려 풍성하게 공간을 메우는데 내적 희열이 어마어마했다. 정면을..